대사증후군이란 복부 내 내장을 둘러싸는 지방이 많이 쌓인 형태인 내장지방형 복부비만과 고혈압, 고혈당, 지질이상 같은 생활습관병의 위험인자를 함께 가지고 있는 상태를 말함 |
건강하지 않은 생활습관 |
⇒ | 내장 지방형 비만 |
⇒ | 대사의 이상 (신호전달물질 분비 이상) |
• 고혈당 •고혈압 •지질이상 |
그대로 방치하면 ⇒ |
• 뇌졸증 • 심장질환 • 당뇨병 합병증 |
지방간질환 | 퇴행성관절염 | 단백뇨 | 암 |
고요산혈증 | 수면장애 | 콜레스테롤 담석 | 우울증 |
천식 | 알츠하이머질환 | 다낭성 난소증후군 |
요인 | 기준 |
아래 5가지 구성요소 중 3개 이상 해당될 경우 대사증후군으로 진단 | |
◆ 복부비만 | ◆ 허리둘레≥90cm(남), ≥85cm(여) |
◆ 높은 혈당 | ◆ 공복혈당≥100mg/dL 또는 혈당조절을 위해 약물투여 중인 상태 |
◆ 높은 혈압 | ◆ 수축기혈압≥130mmHg 또는 이완기혈압 ≥85mmHg 또는 고혈압 치료를 위해 약물투여 중인 상태 |
◆ 저하된 고밀도지질단백질(HDL) 콜레스테롤 | ◆ HDL콜레스테롤<40mg/dL(남), <50mg/dL(여) 또는 고밀도 지질단백질 콜레스테롤혈증을 치료 하기 위해 약물투여 중인 상태 |
◆ 상승된 중성지방 | ◆중성지방≥150mg/dL 또는 고중성지질혈증을 치료하기 위해 약물투여 중인 상태 |
군 분류 | ⇒ | 기준 | 대상자 특성 |
대사증후군 |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3개 이상인 자 | • 현재 병의원 등에서 고혈압, 당뇨 등 치료를 받고 있지 않고, 생활습관 개선이 필요하며, 전문가의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상담이 필요한 자 | |
건강주의군 |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1-2개 인 자 | • 생활습관 변화에 의사결정 지원이 필요한 자 •현재 생활습관을 개선해야 향후 고혈압, 당뇨 등의 질환 또는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는 사람 |
|
약물치료군 |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개수에 상관없이 현재 약물(고혈압, 당뇨병, 이상지질혈증) 투여 중인 상태 | • 현재 약물 복용자로 보건소의 적극적 상담 제공이 필요 없으나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필요가 있으므로 건강관리 상담의 회수 등을 건강주의군 기준에 적용 | |
정상군 |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0개 인 자 | • 스스로 신체상황을 인식하고 적절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도록 지원 |